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
표준진료지침(CP:Critical Pathway)란? (정의 총정리본) 표준진료지침 업무에 관심에 있거나, QI실, 적정진료팀에 근무를 시작하여 표준진료지침을 접하게 되었다면 '표준진료지침'의 정확한 정의에 대해 궁금할 것이다. 이곳 저곳에 적혀있는 표준진료지침의 정리를 한 데 모아보았다. 표준진료지침 교육자료를 만들거나, 개념을 익히고자 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1. 손기호. 표준진료지침(CP) 소개 및 개발 사례. 병원약사회지(2000), 제 17권 제 1호 CP는 특정 질환이나 상태, 집단에 대한 다학제간 환자관리계획으로 일정한 시간 내에서 치료나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결과를 평가하는데 기틀이 되는 도구로서 의료서비스 제공시 충분한 자원을 이용하여 입원기간의 지연을 최소화하고 의료의 질을 최대화하기 위해 계획된 의사를 비롯한 관련인들의 중재를 시간의 진행..
'홍해'와 '흑해'의 이름 유래는? '바다'라고 하면 많은 사람이 파란색을 떠올린다. 그런데 '홍해'와 '흑해'의 이름을 들으면 빨간색 바다, 검은색 바다인가 라는 생각을 한다. 그렇다면 정말 그런걸까? '홍해'는 파란색이다 빨간색 바다일 것 같은 홍해는 사실 여느 바다와 다를 바 없이 파란색이다. 붉게 보이는 것은 다른 바다와 마찬가지로 석양이 물들때 뿐이다. 그렇다면 왜 홍해일까? 고대 이집트 시대에 사막을 나타낸 말은 '빨강'을 뜻하는 데쉘레에서 파생된 데쉘레트였다. 사막 사이에 있었던 홍해는 '붉은 사막에 쌓은 바다'라는 의미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흑해'는 조금 어두울 뿐이다 고대 페르시아인이 흑해에 도착했을 때 페르시아 만의 바다와 달리 바닷물 색깔이 어둡다고 생각해서 그들의 언어로 '어두운 바다'라고 불렇고, 이것이 번역..